지난4-5월 양일간 서울에서 한·중 사회보험협정 제2차 협상이 개최되어 양국 간 사회보장협정 체결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우리측에서는 한동만 외교통상부 국제경제국장을 수석대표로 외교통상부,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교육과학기술부, 주중대사관 및 국민연금공단 관계자가, 중국측은 “다이샤오추” 인력자원사회보장부 국제 합작사부사장(부국장)을 수석대표로 외교부,상무부, 주한중국대사관 관계자가 참석하였다.
금번 협상을 통해 양측은 사회보험의 이중가입 방지를 위해 파견근로자에 대해서는 가장 보험료율이 높은 연금보험(28%)과 함께 고용보험(3%)을 면제하도록 하였으며, 파견 시 최초 5년간 면제가 되며 필요한 경우 최대8년간 연장할 수 있어 최대 13년간 면제가 가능해 진다.
금번 헙의된 내용에 따른 주중 우리 기업 및 근로자의 사회보험비용 절감 효과는 연간 약3,000억 윈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가 체결한 여타 사회보장협정상 파견근로자에 대한 최대 면제 기간은8년으로, 이번 협상 결과는 한중 양국 근로자의 체류기간이 여타국가에 비해 장기간인 점 등이 반영되었다.
일반적으로 사회보장협정에서는 현지에서 채용된 단기 근로자는 근로지국의 보험에 가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금번 협상에서 양국은 자국의 연금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타국의 연금보험이 5년간 면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한·중 양국 간 긴밀한 경제 관계 등을 고려한 것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중국 내 한국학교 파견 교사등 양국에 파견된 공무원들도 동 협정에 따라 연금보험 및 고용보험을 면제받을 수 있게 된다.
양측은 타국에서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연금보험의 이중가입을 면제하는 원칙에 대해서는 합의를 하였으나, 외국인의 자영업 활동에 대한 약국 제도가 상이하여 향후 동 조항의 실제 적용을 위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였다.
자영자 조항 등 양국의 이견이 존재하는 일부 잔여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양국은 오는 7월 중국에서 제3차 협상을 개최하기로 하였으며, 우리부는 관계부처 및 중국 현지 의견을 추가로 수렴하여 제3차 협상에 임할 예정이다.
(대한민국 중국경제신문사)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2-09-04 08:59:47 글 작성에서 이동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