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3(화) 중국 언론에 보도된 주요 경제정보를 아래와 같이 보고함. |
|
등록일: 11-05-19 07:47l조회수: 4849 |
|
|
|
|
|
5.3(화) 중국 언론에 보도된 주요 경제정보를 아래와 같이 보고함.
1. IMF, 2016년 중국 GDP 미국 초월 전망
ㅇ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이 2016년에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음.
- IMF는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중국의 2016년 국내총생산(GDP)은 19조 달러로 세계 경제 총량의 18%를 차지하면서 18.8조 달러(세계 경제 총량의 17.7% 차지)인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경제 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전망함.
- 이에 대해 청화대학 중미관계연구센터 타오원쟈오(陶文釗) 연구원은, 국가의 환율을 계산할 때 구매력평가는 30여 가지 방법 중 하나에 불과해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함.
- 또한 현재 전 세계 GDP의 27%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은 올해 3~3.5%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한 반면, 중국은 12차 5개년 규획 기간 중 성장 목표를 7% 수준으로 제어하고, 구조 조정과 경제 체질 개선 쪽으로 전환할 방침이어서, 중국의 GDP가 미국을 추월하는 것은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고 지적함.
- 중국 현대국제관계연구원 세계경제연구소 천펑잉(陣鳳英) 소장은, 지난해 달러 대비 위안화 평균 환율인 6.77위안으로 계산한 GDP는 5.87조 달러였던 반면, PPP로 계산한 평균 환율은 4.066위안으로 10조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 환율로 환산할 경우 2016년 중국의 GDP는 11.2조 달러로 미국의 18.8조 달러에 미치지 못한다고 밝힘.
- 싱예(興業)은행 루정웨이(魯政委)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세계 최다 인구를 보유한 상황에서 경제 총량이 큰 것은 당연하다면서, 2016년 중국이 미국을 추월한다고 할지라도, 1인당 GDP에서는 미국을 추월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함.
- 한편 중국 경제는 현재 인구 과다 및 노령화, 빈부격차 심화, 효율성 저하, 高실업률, 증권 및 부동산 시장 버블 위험, 인금인상 등 여러 가지 불안 요인을 안고 있다고 덧붙임. (5.3 인민망)
2. 중국 최저임금 인상, 물가 상승에 영향 미치지 않을 듯
ㅇ 지난 5.1일 지린(吉林)성이 최저임금 기준을 평균 22% 인상함으로써, 최저임금 인상 대열에 합류함.
- 현재까지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저장(浙江)성으로 1,310위안이며, 광저우(廣州), 상하이(上海)가 각각 1,300위안, 베이징(北京), 톈진(天津)이 각각 1,160위안, 장쑤(江蘇)성이 1,140위안으로 인상함.
- 시장에서는 이와 같은 최저임금의 잇따른 인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될 것이라 우려했지만, 국가통계국 야오징위엔(姚景源) 이코노미스트는,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함.
- 또한 야오징위엔 이코노미스트는, 생활수준이 제고되고 물가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근로자들의 생활 유지비 역시 상승됐기 때문에, 저소득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최저임금 인상은 물가 상승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 한편 12차 5개년 규획이 제시한 주민소득의 증가 속도는 7% 이상으로 중국 경제 발전과 같은 속도를 유지할 것이며, 인력자원 및 사회보장부는 12차 5개년 규획 기간 동안 근로자의 평균 임금 상승폭이 13% 이상 인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힘. (5.2 중국광파망)
3. EU 전통 식물약 지침 시행, 중약(中藥) 유럽시장에서 퇴출 위기
ㅇ 유럽연합(EU)은 5.1일부터 새로운 <전통 식물약 지침(이하 지침)>을 정식 시행한다고 발표함. 이에 따라 EU에 등록된 의약 제품만이 유럽시장에서 판매될 수 있음.
- 지난 2004.3.31일부터 효력이 발생된 동 지침은 중약을 포함한 전통 식물약에 대해 EU 회원국 주관부처에 등록 신청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심사 비준을 통과해야지만 유럽시장에서 의약 제품으로 판매 및 사용이 가능하다고 규정한 바 있음.
- 하지만 EU 건강 및 소비자정책위원회 관계자는, 동 지침에 따라 규정 시간 내에 등록 절차를 마친 중국 중약은 하나도 없다며, 중약이 퇴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힘.
- 이와 함께 지나치게 높은 진입 장벽은 EU 식물약 생산 기업과 의사들에게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함. EU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식물약시장 중 하나로, 약 4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함. (5.1 신경보)
4. 중국-인도네시아 100억 달러의 경제∙무역 협정 체결
ㅇ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원쟈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수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중국-인도네시아 전략 상무대화’ 기조연설에서, 양국이 100억 달러에 달하는 경제∙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힘.
- 한편 원쟈바오 총리는 중국과 인도네시아 양국 간 무역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지난해 양국의 무역 총액은 427.5억 달러로, 이는 양국 원수가 제시한 300억 달러의 목표를 크게 웃도는 수치라고 밝힘.
- 이에 따라 중국-인도네시아 양국은 오는 2015년까지 교역량을 800억 달러로 확대하고, 인도네시아로부터 수입을 확대하여 건전하고 평등하며 지속적인 교역 발전을 추진토록 함.
- 한편 원쟈바오 총리는, 중국 기업이 인도네시아 도로, 교량, 항구, 통신, 발전소 등 기초설비 건설에 참여하거나 농업, 어업, 관광, 가공제조, 에너지 자원 등 영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힘. (5.1 신경보) /끝/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2-06-07 17:10:43 지역언론보도에서 이동 됨]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