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소식
연대한인상공회 메인 카테고리








HOME>기업투자정보>코참뉴스
 
작성일 : 13-05-28 11:12
신소재산업 12차 5개년 규획 (1)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2,647  
[칼럼1] 신소재의 정의와 범위
신소재가 미치는 범위는 광범위하며 일반적으로 새로 출현한 우수하고 독특한 성질과 특수한 기능을 가진 재료를 말하거나, 전통적인 소재를 개조한 후 성능이 눈에 띄게 높아지고 새로운 기능을 가지게 된 소재를 말함. 여기에는 차세대 기능성 소재, 고성능 구조소재, 첨단 복합소재가 포함되며, 그 범위는 경제발전, 기술진보, 산업고도화에 따라 계속 변하고 있음. 핵심을 부각시키기 위해, 본 규획에서는 아래 6대 분야를 주로 포함함.

① 특수 금속기능소재: 독특한 소리, 빛, 전기, 열, 자기 등 성능을 지닌 금속 소재
② 첨단 금속구조소재: 전통적인 금속소재보다 더 높은 강도, 인성과 내고온, 항부식 등 성능을 지닌 금속소재
③ 첨단 고분자소재: 상대적으로 독특한 물리화학 기능을 지니고 특수한 분야 또는 특정 환경 속에서 응용에 적합한 인공 합성 고분자 신소재
④ 신형 무기물 비금속소재: 전통적인 무기물 비금속 소재 기반 위에서 새로운내마모, 내부식, 광전 등 특수한 성능을 지닌 소재
⑤ 고성능 복합소재: 두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의 이질(异质), 이형(异型), 이성(异性) 소재로 (한가지는 기본 물질, 그외는 증강재)복합되어 만들어진 특수한 성능과 구조를 지닌 신형 소재
⑥ 첨단 신소재: 현재 기초연구를 위주로 미래 시장 잠재력이 크고 신소재 기술 발전 방향을 대표하며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지닌 소재

가. 발전현황과 추세

1. 산업현황

- 몇 년간의 노력을 거쳐, 중국 신소재 산업은 무(無)에서 유(有)로 부단한 발전을 거듭해 체계 구축, 산업 규모, 기술 진보 면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고, 국민경제와 국방건설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탄탄한 발전 기반을 마련함

- 신소재산업 체계 기본적으로 마련: 중국 신소재 R&D와 응용의 발달은 국방 기술공업 분야에 주로 이용되었고, 몇 년간의 발전을 거쳐 신소재는 국민경제 각 분야에서 계속 확대 응용되었으며, R&D, 설계, 생산, 응용을 포함하여, 품종이 비교적 두루 갖춰진 산업체계를 기본적으로 형성함

- 신소재 산업 규모 지속 확대: 21세기 들어 중국 신소재 산업 발전이 빨라, 2010년 중국 신소재 산업 규모는 6,500억 위안을 넘어 2005년 대비 연평균 약20% 성장함

- 그 중 희토류 기능성 소재, 첨단 에너지저장 소재, 태양광소재, 유기실리콘, 슈퍼하드소재, 특수알루미늄, 유리섬유 및 그 복합소재 등 생산량이 세계 선두위치를 차지함

- 부분 핵심기술 중대 성과 취득: 중국이 자체 개발한 베릴륨 탄탈 니오브합금, 비결정질 합금, 고자기성 감응 규소강판, MDI (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초고강도 재료, 메타 아라미드계와 초전도재료 등 생산기술이 이미 혹은 거의 세계적 수준에 이르렀음

- 신소재 품종은 계속 늘어나며 첨단 금속구조재료, 차세대 무기 비금속재료와 고성능 복합소재의 보장능력도 눈에 띄게 증강되었으며 첨단 고분자 소재와 특수 금속 기능성 소재의 자급 수준도 점차 높아지고 있음

- 그러나 중국 신소재 산업의 전체적인 발전수준은 선진국과 비교해 아직 격차가 있고 산업발전도 신속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안고 있음

- 신소재 독자 개발능력 미비, 대형 소재산업 기업의 혁신역량이 강하지 못하고 핵심 신소재 보장 능력이 부족함

- 산학연의 디커플링, 산업체인이 짧고, 신소재 보급 응용의 난관, 산업발전 방식이 미흡함

- 신소재산업은 통합적인 규획과 정책적 유도가 부족하고 R&D투자가 부족하고 분산되어 있으며 기초관리 업무가 비교적 취약한 점이 문제점임

2. 발전 트랜드

- 현재, 세계적인 기술 혁명이 신속히 발전하고 있고 신소재 제품도 나날이 새로워지며 산업의 업그레이드, 소재의 세대교체도 빨라지고 있음

- 신소재 기술과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IT기술의 상호 융합되고 있고 구조 기능의 일체화, 기능성소재의 스마트화 추세가 뚜렷해지며 소재의 저탄소, 친환경, 재생가능 등의 친환경적 특징은 특별한 주목을 받고 있음

- 선진국은 신소재 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매우 주목하고 있고 완벽한 기술개발과 리스크투자 메커니즘을 갖추었으며 대형 글로벌기업은 기술 R&D, 자금, 인재, 특허 등의 경쟁력으로 첨단 하이테크 기술, 고부가가치 신소재산업에 있어 주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어 중국의 신소재산업 발전에 압박이 되고 있음

- 중국 대내적으로 12.5규획기간은 전면적으로 소강사회를 이룩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로 경제 발전 방식 전환의 핵심시기이며 경제구조의 전략적 구조조정은 신소재 산업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해 주었음

- 한편으로 절전환경산업, 차세대 IT산업, 첨단 플랜트제조, 신에너지 및 그린카 등 전략적 신흥산업을 신속히 육성 발전시키며, 국민경제와 국방 건설의 중대한 프로젝트를 실시하는데, 신소재 산업은 중대한 기반을 제공해야 하며 이는 신소재 산업 발전에 무한한 시장 기회를 제공했음

- 또 한편으로, 중국 원자재 공업 규모가 엄청나고, 부분 업종의 생산과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구속 제약이 날로 커지면서 신소재 산업 발전은 당면과제가 되었고 재료공업의 업그레이드와 형태 전환을 신속히 추진해 새로운 성장거점을 육성해야 함

[칼럼2] 전략적 신흥산업의 부분 신소재에 대한 수요 예측
01. 신에너지
12.5기간, 중국 풍력 신규 증가 설치용량이 6,000만KW이상으로 태양에너지발전소 1,000만KW이상을 짓고, 원자력발전 운영 설치 발전기가 4,000만KW에 달함. 총 4만톤의 희토영구자석재료, 50만톤의 고성능유리섬유, 90만톤의 고성능 수지소재, 8만톤의 다결정실리콘, 6,000만 평방미터의 Low iron suede 압연유리,원자력 발전용 철 7만톤/년, 원자력급 지르코늄 1,200톤/년, 지르코늄 및 지르코늄합급 잉곳주조 2000톤/년
02. 절전 및 그린카
2015년, 그린카 누계 생산판매량이 약 5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며 에너지형 동력전지 모듈 150억W/h/년, 출력형 30억W/h/년, 전지막 1억 평방미터/년, 리튬이온전해질염 1000톤/년, 캐소드재료1만톤/년, 탄소계 음극재료 4,000톤/년. 승용차 수요는 1,2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며 알루미늄합금판 17만톤/년, 마그네슘합금 10만톤/년
03. 첨단 플랜트제조
12.5기간에 항공우주, 레일교통, 해양플랜트 등 첨단 플랜트 제조업은 각종 베어링철강 180만톤/년, 유조선 내부식 합금강 100만톤/년, 레일교통 대규모 알루미늄 합금 형재(型材) 4만톤/년, 고정밀 위치 전환이 가능한 고강도 합금 절삭 툴 재료 5,000톤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2020년까지 대형 여객기 등 우주항공 산업 발전을 위해 고성능 알루미늄재료 10만톤/년, 탄소섬유 및 복합재료 응용 비중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04. 차세대 IT기술
2015년까지 8인치 실리콘 단결정 광택 슬라이스는 약 800만 조각/년, 12인치 실리콘 단결정 광택슬라이스 480만 조각/년, 평면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약 1억 평방미터/년, TFT혼합액정재료 400톤/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05. 절전환경보호
12.5’기간, 희토 3원색 형광등 연생산량은 30억개를 넘어서고, 희토 야광파우더는 약 1만톤/년이 필요하며 차세대 벽 소재는 230억 평방미터/년이 넘게 필요하며 보온소재의 생산가치는 약 1,200억위안/년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화력 연기 탈질 촉매제와 매개체는 약 40억위안/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열성, 내부식 백(bag) 집진필터와 수처리막 소재 등 시장 수요는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06. 바이오산업
2015년, 인공관절 50만세트/년, 혈관스텐트 120만개/년, 안구내 렌즈 100만개/년, 의료용 고분자소재, 바이오세라믹, 의료용금속 등 소재의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분해가능한 플라스틱은 폴리락트산(PLA)등 5만톤/년, 전분플라스틱 10만톤/년이 필요함.

3. 발전목표

- 2015년까지 반드시 혁신역량, 규모가 비교적 크고, 산업 부대가 완벽히 갖춰진 신소재산업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건설에 시급하고 미래 발전을 선도하는 핵심소재와 기술들을 확보함

- 혁신역량이 강하고 핵심경쟁력을 갖춘 리딩기업들을 육성하며 배치가 합리적이고 특색있는 산업이 집약된 신소재 산업 단지를 형성하고 신소재가 재료공업 구조조정과 업그레이드 세대교체에 촉진제 역할을 다 하도록 함

- 2020년까지 비교적 강한 독자 혁신역량과 지속가능한 발전 능력, 산학연이 긴밀히 결합된 신소재 산업체계를 구축하고 신소재 산업을 국민경제의 주력산업으로 발전시킴

- 주요 품종은 국민경제와 국방 건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부분 신소재는 세계 첨단수준에 이르도록 하며, 재료공업의 업그레이드 세대교체에서 확실한 성과를 거두어 재료 ‘공업대국’에서 ‘강국’으로의 전략적 전환을 기본적으로 이룸

[칼럼3] ‘12.5’신소재산업 소기의 발전목표
01. 산업규모
총생산액이 2조 위안에 달하고, 연평균 성장율이 25%를 상회함.
02. 혁신역량
R&D투자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중점 신소재 기업의 R&D투자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에 달함. 신소재 공정기술 R&D와 공공서비스플랫폼을 구축함.
03. 산업구조
10개의 혁신역량이 강하고 핵심 경쟁력을 가진, 신소재 매출이 150억 위안이 넘는 종합적인 대표기업들을 만들고 20개의 신소재 매출 50억 위안이 넘는 전문성 핵심기업을 육성하며 약간의 주력사업이 확실하고 산업 부대조건이 잘 갖춰져 있고 연 생산총액이 300억 위안이 넘는 신소재 산업 단지와 산업 클러스터를 만듦.
04. 보장역량
신소재 제품 종합 보장역량을 70%까지 끌어올리고, 핵심 신소재 보장역량을 50%까지 끌어올리며, 탄소섬유, 티타늄합금, 내부식철강, 첨단 에너지저장소재, 반도체소재, 막소재, 부틸합성고무, 폴리탄산에스테르 등 핵심 품종의 산업화, 규모화를 이룸.
05. 재료 세대교체
30개 중점 신소재 품종을 보급하고 몇몇의 시범 보급 응용 사업을 실시함.

* 계획의 주요 내용만을 발췌 번역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입니다. 따라서 편집번호는 계획의 원문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 원문출처: http://www.miit.gov.cn/n11293472/n11293832/n11293907/n11368223/14470 388.html

 
   
 

연대한인상공회홈페이지   상공회회장 : 박상언   상공회주소 : 산동성옌타이시개발구장강로300호중한옌타이경제문화교류센터303실
전화: 0535)610-0700~1  팩스: 0535)610-0705  E-mail :ytshanghui@naver.com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장소묘 鲁ICP备12020739号